가족관계증명서만큼 자주 발급받는 서류 중 하나가 주민등록등본입니다.
오늘은 주민등록등본 인터넷과 카카오톡 전자 증명서를 통해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가족관계 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(Feat. 전자 문서지갑)
가족관계 증명서는 생가보다 많은 곳에서 사용되어 발급받을 일이 꽤 자주 생깁니다.주민센터에 방문하여 발급도 가능하지만 인터넷과 모바일로 더욱 간편하게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소개할게
hodumong.com
인터넷 발급
주민등록 등본은 정부24 홈페이지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.
정부서비스 | 정부24
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, 정부혜택(보조금24), 정책정보/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·조회·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
www.gov.kr
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로그인을 먼저 해주세요.
정부24 로그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편한 방법으로 로그인해 주세요!
로그인 후 검색창에 주민등록 등본을 검색하거나,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주민등록등본을 선택합니다.
주민등록표 등본 발급의 발급하기를 선택해 주세요.
신청내용, 수령 방법을 선택 후 신청하기를 눌러주세요.
직접 출력 시에는 온라인 발급(본인출력)을 선택하시고 전자문서지갑을 통해 받으려면 온라인발급(전자문서지갑)을 선택해 주세요.
온라인 주민등록등본 발급은 무료입니다.
신청이 완료되면 MyGOV - 나의 신청내역 - 서비스 신청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저는 먼저 인터넷발급(본인출력)을 선택하여 등본을 출력해 보겠습니다.
문서출력 버튼을 누르면 인쇄할 수 있게 새로운 창이 뜹니다.
여기서 인쇄 또는 PDF로 저장이 가능합니다.
전자문서지갑
주민등록등본의 경우 네이버, 카카오톡, 민원24앱 등 전자문서지갑(전자증명서)을 통해서 바로 발급받거나 온라인에서 받은 서류를 전달받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본 포스팅에서는 카카오톡의 전자증명서를 이용하여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카카오톡 - 더 보기 - 전자증명서를 선택 후, 발급신청에서 주민등록등본을 선택합니다.
주민등록상 주소를 선택하고 나면, 발급 형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주민등록상의 주소(시, 구)를 선택 후 모든 정보가 표시되는 기본 발급 또는 표시할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발급을 선택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증명서가 발급됩니다.
발급이 완료되면 미리 보기 화면과 함께 하단에 저장하기 및 제출하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제출하기를 선택하면 제출이 필요한 기관에 발급받은 서류를 바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.
전자증명서의 내 증명서에서 발급받은 서류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, 전자지갑을 통해 발급받은 서류는 최대 90일까지 보관이 가능합니다.
인터넷 발급과 전자문서지갑을 이용한 발급 어떠셨나요?
대부분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고 단계도 더 간단하다 보니 개인적으로는 인터넷발급보다는 전자문서지갑을 이용한 증명서 발급이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.
발급받는 것을 깜빡했을 때 스마트폰만 있으면 어디서든 바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으니 어렵게 시간 내서 주민센터에 방문하시기보다는 간단하게 발급받아보시기 바랍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강검진 결과 조회 방법 (1) | 2024.11.27 |
---|---|
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방법 (0) | 2024.11.26 |
소득금액증명 발급받는 3가지 방법 (1) | 2024.11.21 |
인터넷으로 간단하게 전입신고하는 방법 (1) | 2024.11.20 |
가족관계 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(Feat. 전자 문서지갑) (1) | 2024.1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