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전입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.
시간 내서 주민센터 방문 없이 집에서 간단하게 전입신고를 해보세요!
주민등록등본 인터넷 발급 방법
가족관계증명서만큼 자주 발급받는 서류 중 하나가 주민등록등본입니다.오늘은 주민등록등본 인터넷과 카카오톡 전자 증명서를 통해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. 인터넷 발급
hodumong.com
가족관계 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(Feat. 전자 문서지갑)
가족관계 증명서는 생가보다 많은 곳에서 사용되어 발급받을 일이 꽤 자주 생깁니다.주민센터에 방문하여 발급도 가능하지만 인터넷과 모바일로 더욱 간편하게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소개할게
hodumong.com
정부 24
인터넷으로 전입신고는 정부24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.
정부서비스 | 정부24
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, 정부혜택(보조금24), 정책정보/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·조회·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
www.gov.kr
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검색창에 전입신고를 입력합니다.
민원서비스에서 전입신고의 신고하기를 선택 후 로그인해 주세요.
로그인은 인증서, 디지털원패스, 아이디, 비회원로그인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니 편한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.
전입신고 신청은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해야 하며, 이사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없이 신고하지 않으면 5만 원 이하의 과태료, 거짓으로 신고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온라인 전입 신고 시 신청인, 세대주, 전입자 전원의 인증서를 통한 본인확인이 필요합니다.
본인 확인 방법은 신고자의 경우 인증서 로그인을 통해 가능하며, 신고자 외 전입자 및 세대주는 문자메시지로 전달받은 링크를 통해 정부24에 접속하여 본인확인이 절차가 필요합니다.
유의사항 확인 후 기본 정보 및 전입 사유를 선택합니다.
이사 전 거주지정보를 확인하고 전입신고할 사람을 선택합니다.
이사한 곳의 주소를 입력 후 세대 구성 방법을 선택합니다.
또한 전입 신고를 하면서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및 아이가 있다면 초등학교 배정 정보 등 전입신고와 함께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도 있으니 필요에 따라 함께 신청하시면 편합니다.
모두 작성 후 민원신청하기를 누르면 전입신고 신청 안내 팝업이 노출되며, 전입신고 내용이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하면 전입신고 신청이 완료됩니다.
신청자가 세대원일 경우 신청 후 7일째까지 세대주 확인이 완료되면 전입신고가 정상으로 완료됩니다.
주민센터 방문 없이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전입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.
전입신고는 14일 이내 신고하지 않으면 5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이사 후 바로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강검진 결과 조회 방법 (1) | 2024.11.27 |
---|---|
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방법 (0) | 2024.11.26 |
소득금액증명 발급받는 3가지 방법 (1) | 2024.11.21 |
주민등록등본 인터넷 발급 방법 (1) | 2024.11.19 |
가족관계 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(Feat. 전자 문서지갑) (1) | 2024.11.18 |